베트남 AI 뉴스

미중 인공지능 경쟁의 전모와 베트남에 대한 시사점 (2)

보다비엣 : 베트남을 보다 2025. 5. 22. 17:55

2025/05/21

AI 기술: 중국의 약진과 미국의 우위

img src="베트남_AI.jpg"alt"베트남 AI"
미중 인공지능 경쟁

📌 중국은 AI 연구에서 선두

세계지식재산권기구(WIPO)의 최근 AI 특허 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2014년부터 2023년까지 중국은 38,000건 이상의 AI 특허를 보유, 반면 미국은 6,276건에 그쳤습니다.

 

또한 스탠퍼드 대학의 AI 인덱스 최신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은 2010년 이후 AI 논문 인용 횟수에서 선두를 유지하고 있으며, 2021년 중국의 인용 비중은 약 30%로 미국의 두 배에 달했습니다.

 

중국은 세계에서 약 1/3의 AI 유니콘 기업과 36%의 대형 AI 모델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중국 상무부 린지(Ling Ji) 부부장에 따르면, 중국의 방대한 인구와 데이터 자원이 AI 발전의 토대가 되고 있습니다. 기업 정보 플랫폼 Qichacha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에만 23만 개 이상의 AI 관련 기업이 새롭게 설립되었고, 총 170만 개 이상의 기업이 AI를 사업범위나 특허명 등으로 등록하고 있습니다.

 

특히 주목할 분야는 중국의 전기차(EV) 산업입니다.

  • 중국은 첫 1,000만 대의 EV 생산에 26년이 걸렸지만, 그 다음 1,000만 대는 17개월 만에 달성했습니다.
  • 올해 중국 내에서 판매되는 차량의 절반 이상이 스마트카가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 바이두(Baidu) 는 우한에서 500대의 자율주행 택시를 배치했으며, 세계 최대 규모의 자율주행차 실험을 진행 중입니다.

중국은 초지능형 AI 개발에는 뒤처질 수 있지만, "충분히 괜찮은" 수준의 상호작용 AI를 자동차를 통해 보급함으로써, 세계 그 어떤 국가보다 빠르게 상용화하고 있습니다.

 

AI는 중국 군사력 강화에서도 핵심 역할을 합니다.

  • 중국은 중반기까지 "세계 최고 수준의 군대" 건설을 목표로 하며,
  • AI 기반의 “스마트화 병력” 구축을 추진 중입니다.
  • 시진핑 주석은 AI를 중국 군사력의 핵심 추진 엔진으로 보고 있으며, 인민해방군(PLA)은 기술발전을 단계가 아닌 동시에 진행하고 있습니다.

중국은 또한 지능형 로봇 설치 부문에서 세계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 국제로봇연맹에 따르면, 2022년 중국은 전 세계 로봇 설치의 52%를 차지,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 미국, GenAI(생성형 AI) 혁신에서는 우위

IP Watchdog에 따르면, 중국의 특허 수는 인상적이지만, 실제 상용화 측면에서는 미국이 명확한 우위를 점하고 있습니다.

  • 2013~2022년 사이, 미국은 AI 신생기업 수에서 4,600개 이상으로 세계 1위, 중국의 3.5배에 달합니다.
  • 미국 특허는 글로벌 영향력과 기술 적용성 측면에서 더 넓은 파급력을 갖습니다.
  • 반면, 중국 특허는 국내 중심으로 글로벌 확장성이 부족하다는 평가입니다.

Goldman Sachs의 Frank Long에 따르면, 미국은 LLM(대규모 언어모델) 개발에서 확실한 선도국가입니다.

  • ChatGPT와 같은 챗봇은 기존 데이터를 기반으로 동작하며, 이 LLM이 현재 AI 경쟁의 중심 전장입니다.
  • 미국은 전 세계 LLM의 50%를 보유, 중국은 약 40% 수준입니다.

LLM 성능은 모델 크기, 데이터 양에 비례해 향상되기 때문에,

  • 데이터 접근에 제약이 적은 미국이 유리합니다.
  • 또한 NVIDIA 등 고성능 반도체 수출 제한을 통해,
    미국은 중국의 최첨단 LLM 개발을 견제하고 있습니다.

Page One Ventures의 투자자 Chris Nicholson은
“중국 기업들은 미국의 AI 혁신 속도를 따라잡기 위해 큰 압박을 받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핵심 자원 및 반도체 경쟁

AI 발전은 고성능 GPU 등 하드웨어 자원 확보가 필수입니다.

  • AI 모델은 대량의 데이터를 훈련·처리해야 하므로,
    고성능 칩에 대한 접근이 경쟁력의 핵심입니다.

양국은 정책·기술적 수단을 통해 우위를 선점하려 하고 있습니다.

미국의 수출 통제

  • 2022년 10월 7일, 미국은 중국 반도체 기업 YMTC 및 30개 기업을 블랙리스트에 추가했습니다.
  • 10월 10일, 미국은 전 세계 반도체 공급망에서 중국 배제를 목표로 한 대규모 수출통제 조치를 시행했습니다.
  • 2023년 10월, 이 조치는 AI 칩과 관련 생산 장비까지 강화되었습니다.
  • 이는 국가안보 중심에서 기술패권 보호로 정책이 확장된 사례입니다.

바이든 행정부는

  • 중국의 반도체·양자컴퓨터·AI 기업에 대한 미국 투자 제한 조치를 시행했고,
  • 국방부는 ‘국방혁신부대(DIU)’를 통해 실리콘밸리 신기술의 군사 전환을 추진하고 있으며,
  • 2025년 예산에서 AI 관련에만 18억 달러를 편성했습니다.

2024년 5월, Reuters는 미국이 자국산 AI 핵심 소프트웨어(예: ChatGPT 모델)의 중국·러시아 유출을 차단할 계획이라고 보도했습니다.


중국의 맞불 조치

  • 중국은 2020년 8월, AI 관련 음성 인식·개인화 추천 등 기술을 수출 제한 목록에 포함시켰으며,
  • AI 학습용 대규모 데이터의 해외 이전도 보안 심사 대상으로 지정했습니다.

또한 중국은 미국의 제재에 대응해,

  • 반도체에 필수적인 희토류 광물(게르마늄, 갈륨, 흑연 등)의 수출을 제한하고 있으며,
  • 미국은 15종의 광물 100% 수입 의존, 이 중 26종은 중국이 최대 공급국입니다.

글로벌 공급망: 아시아가 중심

  • 미국은 반도체 설계 시장의 85%를 점유하지만, 칩 생산은 대부분 아시아에 의존합니다.
    미국은 자체 생산 비중이 12% 수준이며, TSMC(대만), 삼성(한국) 이 첨단 칩 생산의 90% 이상을 담당합니다.
  • 2024년 1분기, TSMC는 파운드리 시장의 62% 점유, 고급 칩 기준으로는 90% 이상입니다.
  • 중국의 SMIC, 미국의 Intel도 첨단 기술에서 후발주자입니다.

이 같은 구조는 대만의 지정학적 중요성을 부각시키며, 중국이 대만을 통일하고 미국을 공급망에서 배제할 경우, 미국의 기술 리더십은 위협받을 수 있습니다.


CHIPS 법과 미국의 대응

2022년, 미국은 'CHIPS와 과학법' 을 통해

  • 국내 칩 생산 지원을 위해 390억 달러 보조금을 책정했고,
  • 수혜 기업은 중국·러시아 등 특정국에서 반도체 생산을 확대할 수 없음을 조건으로 명시했습니다.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제이크 설리번(Jake Sullivan) 은

"중요 기술 분야에서는 '더 많이 선도할수록 좋다'" 며 글로벌 기술 우위 확보의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인적 자원: AI 경쟁의 숨은 축

AI 경쟁에서 기술만큼이나 중요한 요소는 바로 “사람”, 즉 인재입니다. 인공지능 기술이 진보할 수 있는 이유는, 그 배후에 창조하고 추진하는 인간이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모든 AI 모델, 단순하든 복잡하든 결국은 사람이 설계하고 프로그래밍한 결과입니다.

 

미국과 중국은 모두 AI 인재가 집중된 핵심 허브입니다.

  • 미국은 선진화된 AI 생태계(학계-산업계-기술 인프라)를 통해 세계적인 인재를 유치하는 데 우위를 가지고 있습니다.
  • 반면, 중국도 AI 산업의 고속 성장에 따라 경쟁력 있는 일자리를 창출하고 있으며, 인재 확보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최근 3년간 중국은 전국 대학에 2,000개 이상의 AI 전공을 확대했고,

  • AI 관련 산업도 함께 육성하여 인재를 국내에 정착시키려 하고 있습니다.
  • 중국 출신 AI 전문가 수는 지난 10년간 10배 이상 증가했습니다.

AI 인재 확보 경쟁은 2024년 3월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었습니다.

  • 미국 법무부는 구글의 전직 중국계 AI 개발자가 슈퍼컴퓨터용 LLM 트레이닝 코드 500개를 절도했다며 기소했고, 이는 미중 간 AI 기술 유출 및 안보 갈등이 인재 분야까지 확대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AI 경쟁의 여파와 글로벌 시사점

AI 발전이 가속화되며, 베트남을 포함한 개발도상국들 사이에서는 뒤처질 것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 AI는 직업 자동화, 과학연구의 혁신, 전쟁 양상의 변화까지 야기할 수 있는 기술이며,
  • 이에 따른 국가 발전 격차 심화 가능성도 함께 제기됩니다.

미국과 중국의 경쟁은 다른 국가의 정부·기업·자원을 자극해 AI에 본격 참여하게 만들고 있으며,

  • 자국 내에서 강력한 AI를 개발하지 못한 국가들은 해외 기술 의존도가 높아질 수밖에 없습니다.
  • 이는 전 세계적으로 기술 자립에 대한 열망과 디지털 주권 확보를 위한 경쟁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개발도상국은 충분한 자본·인프라를 갖추지 못해 AI 산업에 적극적으로 뛰어들기 어렵습니다.

  • 특히 미국과 중국이 첨단 기술의 수출·특허를 통제하면서, 신기술 접근 장벽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또한, 군사 분야에서 AI 발전이 무인전투 시스템을 현실화하며,

  • 전면 자동화된 AI 무기의 개발은 인류의 생존, 윤리적 판단, 법적 책임 문제를 초래할 가능성이 큽니다.
  • AI가 생사 결정을 내리는 무기 체계는 국제 사회의 윤리 기준과 충돌할 수 있으며,
  • 국제 협력과 규제 체계 마련이 시급하다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습니다.

영국 앨런 튜링 연구소의 데이비드 레슬리 교수는

“AI가 만들어내는 결과는 특정 국가에 국한되지 않으며, 글로벌한 영향이므로 국제적 협력이 필수적이다”라고 강조했습니다.


베트남에 대한 시사점

AI는 경제 생산성, 창의성, 사회 안전 등 긍정적 기회를 창출할 수 있지만,

  • 동시에 허위 정보 확산, 부정 경쟁, 사기 등 사회적 위험 요소를 키울 수도 있습니다.

베트남이 해야 할 일:

  1. 정부, 민간, 시민 모두가 AI의 이익을 극대화하고, 위험을 통제하는 시스템 구축에 동참해야 합니다.
  2. AI 윤리·문화·법률을 반영하는 개발 가이드라인을 수립해야 하며,
  3. 지식재산권 보호 및 연구개발(R&D) 투자, 그리고 AI 관련 고등 교육·훈련 강화가 필수입니다.
  4. 잘못된 목적의 AI 활용(예: 허위조작, 반국가행위)은 엄격히 금지되어야 합니다.

미중 AI 전략에서의 교훈

  • 중국은 국가 중심 모델로 AI 기술 및 데이터를 통제하며, 정치 안정을 최우선으로 합니다.
    → 그러나 이 접근은 기술 모델의 다양성과 창의성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미국은 민간 중심 모델로, 기업 자율성과 상업성을 기반으로 AI 발전을 유도하고 있습니다.
    → 반면, 국가 차원의 통제력 및 안보 관리가 부족할 수 있습니다.

베트남은 이 두 모델의 장점을 조화롭게 결합할 수 있는 균형 전략이 필요합니다.

  • 민간 기업 참여를 장려하면서도
  • 정부의 규제·감독 체계로 전체 기술의 건전한 방향을 이끌어야 합니다.

베트남의 AI 생태계 구축 전략 제안

  • AI 발전은 인프라, 기업, 정책, 인재 등 종합적 생태계 기반이 필수입니다.
  • STEM 전공 학생들이 산업 현장에 쉽게 진입할 수 있도록
    • 교육과 기업의 연계를 강화하고,
    • 국내 AI 인재 육성 기반을 마련해야 합니다.
  • 단순히 연봉만이 아니라, 성장할 수 있는 창의적 환경도 중요합니다.
  • 해외 투자 유치를 위해서는
    • 기술력 향상,
    • R&D 센터 유치를 위한 제도적 기반 마련이 필요합니다.

“거인의 어깨에 올라서기”: 국제 협력의 중요성

  • 베트남은 제한된 자원 속에서도 국제 협력을 통해 시간과 비용을 절약하고,
  • 선진국의 기술을 공동 개발 또는 이전받아 빠르게 추격할 수 있는 전략을 취해야 합니다.

스탠퍼드대 AI 인덱스 2023 보고서에 따르면,

미중 간 지정학적 경쟁에도 불구하고, 양국의 AI 공동 연구 건수는 2010년 대비 2021년에 4배 증가했다고 합니다.

 

→ 국제 협력은 경쟁을 상쇄하는 해법이 될 수 있습니다.

 

 

미중 인공지능 경쟁의 전모와 베트남에 대한 시사점 (1)

2025/05/21 세계는 현재 인터넷 이후 가장 중요한 혁신 중 하나로 여겨지는 인공지능(AI) 의 빠른 발전을 목격하고 있습니다. 2022년 11월 30일 ChatGPT의 대중 공개 이후, 세계는 그 어느 때보다도 강력

bodaviet.tistory.com

출처 : https://nghiencuuchienluoc.org/toan-canh-cuoc-dua-tri-tue-nhan-tao-my-trung-va-mot-so-ham-y-doi-voi-viet-n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