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2
2024년 한 해 동안 현대자동차와 기아가 동남아 6대 시장에서 판매한 총 160,515대 차량 중 63%인 101,738대를 베트남에서 판매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베트남이 한국 자동차 브랜드의 사실상 ‘황금시장’ 이 됐음을 보여준다.
동남아 주요 시장 중 유일하게 '우세'한 곳은 베트남
- 베트남
- 현대: 67,168대 판매 (시장 점유율 13.6%, 2위)
- 기아: 34,570대 (7% 점유율, 6위)
- 1위는 빈패스트(VinFast) 로 87,000대 이상 판매
- 뒤를 이어 도요타(66,576대), 포드(42,175대), 미쓰비시(41,198대) 순
- 다른 동남아 시장들에서는 존재감 미미
- 인도네시아: 현대 22,343대 (8위, 점유율 약 2.5%), 기아는 15위 밖
- 필리핀: 현대 12,019대, 기아 6,692대 (낮은 한자리 점유율)
- 싱가포르: 현대 2,061대, 기아 1,214대
- 태국, 말레이시아: 두 브랜드 모두 상위 10위권 밖
왜 베트남만 잘될까? 현지화 전략 ‘주효’
전문가들은 현대차-기아의 베트남 성공 요인으로 다음과 같은 현지 밀착 전략을 꼽는다.
- 현지 파트너십
- 현대차는 Thanh Cong 그룹, 기아는 Thaco 그룹과 협력
- 소비자 취향·트렌드에 대한 깊은 이해 확보
- 현지 공장 건설 및 가격 경쟁력 확보
- 현대: 베트남 내 2개 공장 운영
- 기아: 연간 생산 5만 대 규모의 동남아 최대 조립공장 보유
- 디자인과 기능 지속 개선
- 최신 트렌드 반영, 젊은 소비자 선호 고려
일본차가 장악한 시장 대신 ‘신흥시장’ 베트남 공략
한 베트남 자동차 제조사 협회 관계자는 “현대와 기아는 이미 일본 브랜드가 주도하는 태국, 인도네시아 등에서 경쟁하기보다는 열려 있고, 한류 친화적인 베트남에 집중했다”고 분석했다.
경쟁 심화 조짐도… 점유율 하락 위험
그러나 2024년 현대·기아의 베트남 내 판매량은 전년 대비 6% 감소했다. 특히:
- 현대 엑센트(Accent): 13,538대 판매 → 도요타 비오스(Vios) 14,210대에 밀림
- 전기차 시장: 빈패스트의 소형 SUV 전기차가 빠르게 성장 중
이처럼 일본차와 베트남 로컬 브랜드의 반격이 거세지는 가운데, 한국차의 입지는 점점 좁아질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동남아 전체 판도도 변화 중
- 2024년 동남아 6개국에서 중국차 점유율 3.4% → 5%로 급등
- 같은 기간 일본차는 68.2% → 63.9%, 한국차는 5.3% → 5.0%로 소폭 하락
중국 브랜드는 저가 전기차로 인도네시아·태국을 거점 삼아 빠르게 확장 중이며, 이는 한국 브랜드에 새로운 위협이 되고 있다.
베트남은 아직 기회의 땅이지만…
- 자동차 보유율은 낮고, 젊은 소비층 증가
- 현지 생산·가격 경쟁력·브랜드 충성도 여전히 강점
- 그러나 전기차 전환과 경쟁 심화에 대한 전략 재정비 필요
'베트남 오늘의 주요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또 람 베트남 총비서–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전화 회담 (0) | 2025.04.05 |
---|---|
베트남 46%… 트럼프 대통령의 ‘새로운 관세 폭탄’ 핵심 5가지 (2) | 2025.04.04 |
베트남 증시 폭락장 속 '상한가' 질주… 베트남 광산주 급등 배경은? (0) | 2025.04.04 |
베트남 정부, 2025년 6월 1일부터, 탈세 혐의가 있는 납세자는 전자세금계산서 사용 중단 (0) | 2025.04.04 |
미국의 고율 관세 정책 발표 이후… Dragon Capital, 베트남 경제 성장 시나리오 제시 (0) | 2025.04.04 |